기하학에서 대칭 중선(對稱中線, 영어: symmedian 시미디언[*])은 주어진 삼각형의 각 꼭짓점을 지나는 중선을 같은 꼭짓점에서의 내각 이등분선에 대하여 반사시켜 얻는 직선이다. 즉, 대칭 중선은 중선의 등각 켤레선이다. 대칭 중점(對稱中點, 영어: symmedian point) 또는 르무안 점(영어: Lemoine point) 또는 그레베 점(영어: Grebe point)은 주어진 삼각형의 세 대칭 중선이 공통으로 지나는 점이다. 즉, 대칭 중점은 무게 중심의 등각 켤레점이다.
대칭 중점은 삼각형의 세 변과의 거리의 제곱의 합이 가장 작은 점이다.[1]:75, Exercise 7.3 삼각형 의 세 변의 길이를 , , 라고 하고, 넓이를 라고 하고, 브로카르 각을 라고 하자. 그렇다면 대칭 중점 와 세 변 , , 사이의 거리는 다음과 같다.[2]:268, §[XVI.]438
삼각형 의 대칭 중선 , , 의 발을 , , 라고 하고, 대칭 중점을 라고 하자. 그렇다면 다음이 성립한다.[1]:76, Exercise 7.4
삼각형 의 각 꼭짓점 , , 을 지나는 대변의 수선의 발을 , , 라고 하자. 그렇다면 , , 을 지나는 대칭 중선은 각각 수심 삼각형의 변 , , 를 이등분한다.[1]:60, §7.4, (ii)
삼각형 의 한 꼭짓점 를 지나는 대칭 중선은 남은 두 꼭짓점 , 에서의 외접원의 접선의 교점을 지난다.[1]:60, §7.4, (iii)제르곤 삼각형의 대칭 중점은 제르곤 점이다. 이는 위 명제의 따름정리이다.
증명:
외접원의 , 에서의 접선의 교점을 라고 하자. 를 중심으로 하고 를 반지름으로 하는 원이 , 의 연장선과 각각 , 에서 만난다고 하자. 접현각의 크기는 원주각과 같으므로
이다. 또한 사각형 에서
이므로 , , 는 공선점이다. 따라서 삼각형 는 삼각형 와 닮음이다. 구체적으로, 삼각형 를 의 이등분선에 대하여 반사시킨 뒤 다시 를 중심으로 적절한 중심 닮음 변환을 가하면 삼각형 를 얻는다. 이러한 변환은 닮음 변환이며, 특히 아핀 변환이므로 중점을 보존한다. 를 지나는 직선은 를 중심으로 하는 중심 닮음 변환에 대하여 불변이므로 의 상은 자신의 등각 켤레선이다. 는 삼각형 의 중선이므로 의 등각 켤레선은 삼각형 의 중선이다. 즉, 는 삼각형 의 대칭 중선이다.
삼각형 의 내접원과 꼭짓점 , , 의 대변의 접점을 각각 , , 라고 하자. 그렇다면 삼각형 의 내접원은 제르곤 삼각형 의 외접원이다. 삼각형 의 각 변은 삼각형 의 외접원의 각 꼭짓점 , , 에서의 접선이며, 점 , , 는 접선들의 교점이다. 따라서 직선 , , 는 삼각형 의 대칭 중선이며, 그 교점인 제르곤 점은 대칭 중점이다.
삼각형 의 한 꼭짓점 를 지나는 대변의 수선의 중점 과 대변의 중점 를 잇는 직선은 대칭 중점 를 지난다.[1]:65, §7.4, (vii)
증명:
대칭 중점 를 지나는 외접원의 꼭짓점 에서의 접선의 평행선 와 변 , 의 교점을 각각 , 라고 하자. 대칭 중점 를 지나는 외접원의 꼭짓점 에서의 접선의 평행선 와 변 , 의 교점을 각각 , 라고 하자. 그렇다면 선분 , 는 제2 르무안 원의 두 지름이므로 사각형 는 직사각형이다. 직사각형의 변 , 의 중점을 각각 , 라고 하자. 그렇다면 이 꼭짓점 에서 내린 대변의 수선 의 중점이므로 , , 은 한 직선 위의 점이며, , , 역시 한 직선 위의 점이다. 대칭 중점 는 선분 의 중점이며 는 선분 의 중점이므로 , , 는 한 직선 위의 점이다.
삼각형 의 대칭 중점 를 지나는 각 변 , , 의 평행선 , , 와 남은 두 변의 교점을 각각 와 , 와 , 와 라고 하자. 그렇다면 6개의 점 , , , , , 는 한 원 위의 점이며, 그 중심은 대칭 중점 와 외심 를 잇는 선분 의 중점이다. 이 원을 삼각형 의 제1 르무안 원(영어: first Lemoine circle)이라고 한다.[1]:88, §9.2
마찬가지로, 삼각형 의 대칭 중점 를 지나는 각 변 , , 의 평행선 , , 와 남은 두 변의 교점을 각각 와 , 와 , 와 라고 하자. 그렇다면 6개의 점 , , , , , 는 한 원 위의 점이며, 그 중심은 대칭 중점 이다. 이 원을 삼각형 의 제2 르무안 원(영어: second Lemoine circle)이라고 한다.[1]:88, §9.2
↑ 가나다라마바사아자Honsberger, Ross (1995). 《Episodes in Nineteenth and Twentieth Century Euclidean Geometry》. New Mathematical Library (영어) 37. Washington: The Mathematical Association of America. ISBN0-88385-639-5.
↑Johnson, Roger A. (1960) [1929]. 《Advanced Euclidean Geometry》 (영어). New York, N. Y.: Dover Publications.